어깨턴과 다운스윙
양질의 어깨턴은 어깨보다 가슴이 더
크게 ‘태엽’처럼 회전해야
견고한 하체와 항상 일정한 팔의 아크. 각이 깊은 코킹은 필수
다운스윙은 척추가 유지한 채 손이 아닌 ‘히프의 측면 이동’으로 시작
견고한 하체와 항상 일정한 팔의 아크. 각이 깊은 코킹은 필수
다운스윙은 척추가 유지한 채 손이 아닌 ‘히프의 측면 이동’으로 시작
백스윙의 절대 미학 ‘어깨 턴’은 어떻게
이뤄져야 할까. 지난주까지는 스윙의 셋업 동작에서부터 스윙 톱에 이르는 백스윙의 전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주는 그 동안 숱하게 들어왔지만 몸에 잘 익혀지지 않는 어깨 턴에 대해 살펴보자. 이상적인 어깨 턴은 어드레스 때 설정된 상체의 각도를 최대한 유지한 몸의 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일단 백스윙 과정에서 척추의 각도가 펴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아마추어 골퍼들은 백스윙 때 허리가 펴지면서 척추의 각도가 사라져 버린다. 어깨 회전을 극대화하려면 먼저 히프의 움직임을 줄이고 하체는 버티면서 어깨보다는 가슴이 더 크게 회전되는 듯한 느낌이 들어야 한다. 이를 ‘태엽효과’라고 하는데 다운스윙 때 클럽의 헤드 스피드를 최대한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 이 동작은 팔로만 스윙하는 것과는 사뭇 다르다. 팔에 의존한 채 스윙이 이뤄지면 그립한 양손이 몸(가슴) 밖으로 벗어나 스윙궤도를 이탈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태엽’처럼 몸을 감게 되면 그립한 양손이 가슴 앞쪽에 위치하면서 항상 온 플레인의 궤도 속에서 스윙이 이루어진다. 또 다운스윙 때 클럽을 좀더 안쪽에서 끌어내릴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임팩트 때 클럽 페이스를 스퀘어 상태로 진입시킬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보장해 준다. 뿐만 아니라 클럽이 볼을 통과할 적에 하체가 제자리를 찾아 아주 빠르게 회전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대신 스윙 톱에서는 그립한 손목이 <사진1>처럼 경직되지 않고 부드러운 코킹이 만들어져야 한다. 이 때 코킹의 각은 깊을수록 좋다. 이와함께 그립한 양손과 몸은 <사진2>와 같이 되도록이면 멀리 떨어지는 것이 좋다. 톱스윙에서 많은 아마추어들의 오류는 바로 이 간격이 들쭉날쭉하기 때문이다. 대부분 스윙 톱의 정점에 이르게 되면 출발 당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했던 그립한 양손이 머리 축으로 달라붙는다. 오버스윙은 물론이고 스윙 톱에서 클럽이 출렁이기 때문에 부정확한 임팩트가 되기 십상이다. 때문에 양질의 어깨 턴이란 폭 넓은 아크를 유지하면서도 등이 <사진3>처럼 타깃을 향해 있어야 한다. 당연히 왼어깨는 턱밑을 지나야 한다. 척추의 각이 펴져서 꼿꼿한 상태로 일어서게 되면 왼어깨가 턱밑을 지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처럼 어깨를 볼 뒤까지 크게 회전시키고 하체를 견고하게 지탱시키면 다운스윙 때 엄청난 파워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장타의 비거리를 꿈꾸는 골퍼라면 반드시 이 동작을 몸에 익혀야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풀어내야 할까. 아무리 몸의 코일이 잘 꼬였다고 했도 이 축적된 파워를 볼에 전달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다. 다운스윙의 핵심은 몸이 중심의 축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척추의 각도를 유지한 채 ‘히프의 측면 이동’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그립한 양손과 몸통을 분리해야 한다. 이게 정말 어렵다. 머리 속에 ‘볼을 쳐야 한다’는 의식이 강하게 내재돼 있기 때문이다. 이 의식은 지금까지 몸의 꼬임을 내버려두고 팔에 의존한 스윙으로 치닫게 한다. 몸의 회전력을 다시 풀어내는 방식으로 다운스윙이 이뤄져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이다. 때문에 다운스윙의 최초의 동작은 <사진4>처럼 오른 어깨를 있는 그대로 제자리에 머물게 하고. <사진5>와 같이 히프의 측면 이동으로 시작해야 팔과 클럽이 몸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자연스럽게 아래로 떨어뜨릴 수 있다. 이렇게 해야 스윙의 정점에서 형성된 넓의 폭의 아크가 허리 높이에 이르렀을 때도 줄어들지 않고 <사진6>처럼 그립한 양손목의 코킹도 최대한 풀리지 않은 채 임팩트 존으로 들어설 수 있다. 이를 전문 용어로 ‘래깅(Lagging) 코킹’ 상태로 한다. 그러나 아마추어 골퍼들은 하프 다운스윙 때 이미 손목의 코킹이 다 풀어져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타이거 우즈와 필 미켈슨 등 PGA투어 톱랭커들은 바로 이 래깅 코킹 상태로 볼을 히팅하기 때문에 폭발적인 샷을 날린다. 가장 대표적인 선수는 세르히오 가르시아로 샤프트의 기울기는 지면에 대해 90도보다 더 작은 45도에 가깝다. 이 같은 다운스윙은 클럽이 임팩트를 향해 올바른 ‘진입 각도’로 빠르고 정확하게 움직일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 클럽이 몸의 인사드에서 내려와 볼의 안쪽에 스퀘어 상태로 접촉함과 동시에 클럽 페이스가 미세게 닫히기 때문에 아주 멋진 ‘드로 스핀’을 걸리게 해준다. 하지만 볼을 강하게 쳐야겠다는 의식이 강하면 강할수록 다운스윙 때 오른 어깨부위가 아주 빠르게 움직이고 클럽은 스윙궤도를 벗어나 가파르게 엎어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주의 할 것은 스윙의 정점에서 코일이 제대로 이루워지지 않으면 하체의 ‘측면 이동’을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
'골프레슨 > 골프레슨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트럴 하프웨이 다운스윙 요령 (0) | 2006.09.10 |
---|---|
클럽을 몸 앞에 유지한 채 다운스윙하는 요령 (0) | 2006.09.05 |
톱 스윙 때 클럽 페이스스퀘어 (0) | 2006.09.03 |
백스윙과 스윙 톱 (0) | 2006.09.03 |
손목코킹과 테이크 백 (0) | 2006.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