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트럴 하프웨이 다운스윙 요령
`히프의 측면 이동`으로 하체
리드를 먼저 시작해야
스윙 톱에서 형성된 손목 코킹, 허리 높이까지는 최대한 유지
스윙 톱에서 형성된 손목 코킹, 허리 높이까지는 최대한 유지
스윙의 여러 부분 가운데서도 다운스윙에 대한 설명이
세분화되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볼에 파워를 전달하는 임팩트의 첨병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다시 한번 기본적인 백스윙, 즉 `뉴트럴 톱`을 설명하자면 손 팔을 가슴으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폭넓은 스윙 아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때 <사진1>처럼 손목의 꺾인 각이 깊고 부드러운 코킹은 필수다. `큰 어깨의 턴`과 더불어 `왼팔뚝의 회전량`도 충분해야 한다. 이렇게 백스윙이 이상적으로 형성돼 있어야 다운스윙 때 팔과 몸의 분리가 쉬워진다. 즉 몸의 꼬임이 크면 클수록 다운스윙 때 그립한 양손보다는 하체의 리드를 먼저 이끌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이 극도록 팽팽하게 감기면 그 감긴 힘만큼 다시 제자리를 찾으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반면 몸 꼬임의 회전량이 적게 되면 기본적으로 백스윙 때 왼발의 체중이 오른발 쪽으로 제대로 옮겨가지 않기 때문에 다운스윙 때 다시 왼발 쪽으로 옮겨질 체중이 없다고 보면 된다. 이는 하체의 반동을 이끌어낼 만한 역추진 에너지가 전혀 없다는 뜻이 되고 결국 손이나 팔로만 스윙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다시 말해 백스윙 톱에서 팽팽하게 회전되어 긴장된 팔과 몸이 다운스윙 때 분리되어야 한다는 뜻은 그립한 손보다 꼬였던 몸의 회전이 먼저 풀리고, 또는 오른발 쪽으로 옮겨졌던 체중이 다시 왼발 쪽으로 먼저 옮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행크 헤이니는 이 같은 이론 전개와는 달리 아주 심플하게 <사진2>와 같이 `히프의 측면 이동`을 `하프웨이 다운스윙`의 첫 단계로 정의하고 있다. 즉 히프의 측면 이동이 시작될 때까지 그립한 양손은 스윙톱의 위치에 그냥 무의식적으로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후 샤프트는 <사진3>처럼 약간 플랫하게 내리면서 왼팔뚝을 몸쪽 아래로 다시 역회전시켜야 <사진4>와 같이 클럽을 몸앞에 유지 할수 있게 된다. 이 때 손과 팔의 힘을 빼기만 하면 클럽은 저절로 떨어지게 된다. 물론 처음에는 그립한 양손을 그냥 낮추려는 의식적인 시도가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하프웨이 다운스윙은 `히프의 측면 이동→플랫한 샤프트의 기울기→왼팔뚝의 역회전→팔과 몸통의 분리→클럽 떨어트림` 등의 순서대로 연습을 해야 한다. 이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흐름도를 그려본 것이고, 이 중에서 히프의 측면 이동을 제외하고서는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진다.
이 때 주의할 것은 밖으로 밀어주지 못하고 몸쪽으로 당겨치는 샷이다. 그리고 빠른 히프턴은 임팩트 때 클럽 페이스가 급격히 닫히는 것을 지연시켜줘 훅성 타구를 방지해 준다.
중요한 것은 백스윙과 다운스윙이 서로 조화롭게 배합되지 않는다면 백스윙을 할 필요가 없다. 때문에 백스윙의 톱에서 그립한 양손과 클럽 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여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많은 아마추어 골퍼들은 이 같은 테크닉을 구사 할수 없기 때문에 클럽 헤드의 스피드를 미리 떨어뜨리는 얼리 릴리스(Early Release)를 하고 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운스윙 때 볼 뒤의 지면을 많이 때리는 뒤땅도 모두 여기에서 기인한다. 스윙 톱에서 형성됐던 코킹이 허리높이 이전에 이미 풀려버린 채 임팩트 경로를 지나기 때문이다. 비거리 손실은 말할 것도 없고, 손과 팔에 의존한 스윙이다 보니 클럽 페이스가 수시로 열리거니 닫힘으로써 볼의 방향이 슬라이스나 훅으로 이어지고 만다.
따라서 하프웨이 다운스윙의 결정체는 뭐니 뭐니 해도 스윙의 최정점에서 형성된 넓의 폭의 아크가 허리 높이에 이르렀을 때도 줄어들지 않고 <사진5>처럼 그립한 양손목의 코킹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다. 바로 임팩트 직전까지 이 상태의 손목 코킹을 유지할 수 있다면 폭발적인 스윙을 구사할 수 있다. 이를 전문 용어로 `래깅(Lagging) 코킹` 상태라고 한다.
이 같은 다운스윙은 클럽이 임팩트를 향해 올바른 `진입 각도`로 빠르고 정확하게 움직일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 클럽이 몸의 인사드에서 내려와 볼의 안쪽에 스퀘어 상태로 접촉함과 동시에 클럽 페이스가 미세게 닫히기 때문에 아주 멋진 `드로 스핀`을 연출한다. 즉 다운 스윙에서 새프트가 더 크게 휘어 지게 하는 고도의 테크닉인 것이다.
`골프황제` 타이거 우즈의 빠른 손과 빠른 방향 전환은 바로 이 온 플레인 골프스윙에서 이루어지는 결과물이다. 이 테크닉을 익히게 되면 나이에 구애받지 않고 젊음 선수가 같은 비거리를 날릴 수 있다.
볼에 파워를 전달하는 임팩트의 첨병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다시 한번 기본적인 백스윙, 즉 `뉴트럴 톱`을 설명하자면 손 팔을 가슴으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폭넓은 스윙 아크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때 <사진1>처럼 손목의 꺾인 각이 깊고 부드러운 코킹은 필수다. `큰 어깨의 턴`과 더불어 `왼팔뚝의 회전량`도 충분해야 한다. 이렇게 백스윙이 이상적으로 형성돼 있어야 다운스윙 때 팔과 몸의 분리가 쉬워진다. 즉 몸의 꼬임이 크면 클수록 다운스윙 때 그립한 양손보다는 하체의 리드를 먼저 이끌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이 극도록 팽팽하게 감기면 그 감긴 힘만큼 다시 제자리를 찾으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반면 몸 꼬임의 회전량이 적게 되면 기본적으로 백스윙 때 왼발의 체중이 오른발 쪽으로 제대로 옮겨가지 않기 때문에 다운스윙 때 다시 왼발 쪽으로 옮겨질 체중이 없다고 보면 된다. 이는 하체의 반동을 이끌어낼 만한 역추진 에너지가 전혀 없다는 뜻이 되고 결국 손이나 팔로만 스윙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다시 말해 백스윙 톱에서 팽팽하게 회전되어 긴장된 팔과 몸이 다운스윙 때 분리되어야 한다는 뜻은 그립한 손보다 꼬였던 몸의 회전이 먼저 풀리고, 또는 오른발 쪽으로 옮겨졌던 체중이 다시 왼발 쪽으로 먼저 옮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행크 헤이니는 이 같은 이론 전개와는 달리 아주 심플하게 <사진2>와 같이 `히프의 측면 이동`을 `하프웨이 다운스윙`의 첫 단계로 정의하고 있다. 즉 히프의 측면 이동이 시작될 때까지 그립한 양손은 스윙톱의 위치에 그냥 무의식적으로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후 샤프트는 <사진3>처럼 약간 플랫하게 내리면서 왼팔뚝을 몸쪽 아래로 다시 역회전시켜야 <사진4>와 같이 클럽을 몸앞에 유지 할수 있게 된다. 이 때 손과 팔의 힘을 빼기만 하면 클럽은 저절로 떨어지게 된다. 물론 처음에는 그립한 양손을 그냥 낮추려는 의식적인 시도가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하프웨이 다운스윙은 `히프의 측면 이동→플랫한 샤프트의 기울기→왼팔뚝의 역회전→팔과 몸통의 분리→클럽 떨어트림` 등의 순서대로 연습을 해야 한다. 이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흐름도를 그려본 것이고, 이 중에서 히프의 측면 이동을 제외하고서는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진다.
이 때 주의할 것은 밖으로 밀어주지 못하고 몸쪽으로 당겨치는 샷이다. 그리고 빠른 히프턴은 임팩트 때 클럽 페이스가 급격히 닫히는 것을 지연시켜줘 훅성 타구를 방지해 준다.
중요한 것은 백스윙과 다운스윙이 서로 조화롭게 배합되지 않는다면 백스윙을 할 필요가 없다. 때문에 백스윙의 톱에서 그립한 양손과 클럽 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여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많은 아마추어 골퍼들은 이 같은 테크닉을 구사 할수 없기 때문에 클럽 헤드의 스피드를 미리 떨어뜨리는 얼리 릴리스(Early Release)를 하고 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운스윙 때 볼 뒤의 지면을 많이 때리는 뒤땅도 모두 여기에서 기인한다. 스윙 톱에서 형성됐던 코킹이 허리높이 이전에 이미 풀려버린 채 임팩트 경로를 지나기 때문이다. 비거리 손실은 말할 것도 없고, 손과 팔에 의존한 스윙이다 보니 클럽 페이스가 수시로 열리거니 닫힘으로써 볼의 방향이 슬라이스나 훅으로 이어지고 만다.
따라서 하프웨이 다운스윙의 결정체는 뭐니 뭐니 해도 스윙의 최정점에서 형성된 넓의 폭의 아크가 허리 높이에 이르렀을 때도 줄어들지 않고 <사진5>처럼 그립한 양손목의 코킹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다. 바로 임팩트 직전까지 이 상태의 손목 코킹을 유지할 수 있다면 폭발적인 스윙을 구사할 수 있다. 이를 전문 용어로 `래깅(Lagging) 코킹` 상태라고 한다.
이 같은 다운스윙은 클럽이 임팩트를 향해 올바른 `진입 각도`로 빠르고 정확하게 움직일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 클럽이 몸의 인사드에서 내려와 볼의 안쪽에 스퀘어 상태로 접촉함과 동시에 클럽 페이스가 미세게 닫히기 때문에 아주 멋진 `드로 스핀`을 연출한다. 즉 다운 스윙에서 새프트가 더 크게 휘어 지게 하는 고도의 테크닉인 것이다.
`골프황제` 타이거 우즈의 빠른 손과 빠른 방향 전환은 바로 이 온 플레인 골프스윙에서 이루어지는 결과물이다. 이 테크닉을 익히게 되면 나이에 구애받지 않고 젊음 선수가 같은 비거리를 날릴 수 있다.
'골프레슨 > 골프레슨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정한 앰팩트와 레이트 릴리스 (0) | 2006.09.10 |
---|---|
레이트 다운스윙 (0) | 2006.09.10 |
클럽을 몸 앞에 유지한 채 다운스윙하는 요령 (0) | 2006.09.05 |
어깨턴과 다운스윙 (0) | 2006.09.03 |
톱 스윙 때 클럽 페이스스퀘어 (0) | 2006.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