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로 쓰러진 보행자 다시 치고 지나간 버스도 배상 책임"
택시에 치여 도로에 쓰러진 보행자를 마을버스 운전기사가 밟고 지나간 뒤, 또다른 택시가 한번 더 쳐 결국 보행자가 사망했다면 마을버스에게도 배상 책임이 인정될까. 법원은 마을버스 운전기사에게도 “30%의 배상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70단독 이상원 판사는 보행자 유족에게 배상금을 지급한 택시운송조합 연합회가 전국 버스운송사업조합 연합회를 상대로 낸 구상금 소송에서 “택시운송조합에 4000여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고 19일 밝혔다.
보행자 A씨는 지난해 3월 26일 오전 5시쯤 인천 부평에 있는 편도 3차로 도로를 무단횡단하던 중 택시에 치여 쓰러졌다. 당시 택시는 제한속도(시속 60㎞)보다 빠른 시속 78∼78.6㎞로 달렸다.
이어 13~14 초가 지난 뒤, 마을버스 운전기사가 쓰러져있는 A씨를 보지 못하고 한 번 더 치고 지나갔다. 당시 버스의 속력은 시속 48㎞였다. 운전기사는 차를 세우고 A씨의 상태를 살펴봤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몇 분 만에 현장을 떠났다.
이후 2분 정도 지난 뒤, 또 다른 택시가 시속 44㎞의 속도로 A씨를 밟고 지나갔다. 결국 A씨는 다발성 손상으로 숨졌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세 차례에 걸친 충격 중 몇 번째가 A씨의 사망 원인이 됐는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고 감정했다.
처음 사고를 낸 택시와 택시공제계약(사고로 인한 법률상 손해배상책임을 대신하는 계약)을 맺고 있는 택시운송조합은 A씨 유족들과 손해배상액 1억5500만원에 합의하고 지난해 8월 이 중 1억3000여만원을 지급했다.
이후 택시운송조합은 “사고 후 마을버스의 과실 비율이 70%에 달하기 때문에 유족에게 지급한 손해배상금 중 9000여만원은 버스운송조합이 부담해야 한다”며 구상금 청구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마을버스 운전기사가 2차 사고를 낸 사실을 알고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현장에서 벗어났다”며 “마을버스의 과실비율을 30%로 인정된다”고 판시했다.
재판부는 처음 사고를 낸 택시 운전기사에 대해 “A씨를 넘어뜨리고도 적절한 구호조치나 추가적인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아 2·3차 사고가 발생했다” 과실비율을 60%로 봤고, 또다른 택시의 과실비율에 대해선 10%라고 판단했다.
김선미 기자
서울중앙지법 민사70단독 이상원 판사는 보행자 유족에게 배상금을 지급한 택시운송조합 연합회가 전국 버스운송사업조합 연합회를 상대로 낸 구상금 소송에서 “택시운송조합에 4000여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고 19일 밝혔다.
보행자 A씨는 지난해 3월 26일 오전 5시쯤 인천 부평에 있는 편도 3차로 도로를 무단횡단하던 중 택시에 치여 쓰러졌다. 당시 택시는 제한속도(시속 60㎞)보다 빠른 시속 78∼78.6㎞로 달렸다.
이어 13~14 초가 지난 뒤, 마을버스 운전기사가 쓰러져있는 A씨를 보지 못하고 한 번 더 치고 지나갔다. 당시 버스의 속력은 시속 48㎞였다. 운전기사는 차를 세우고 A씨의 상태를 살펴봤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몇 분 만에 현장을 떠났다.
이후 2분 정도 지난 뒤, 또 다른 택시가 시속 44㎞의 속도로 A씨를 밟고 지나갔다. 결국 A씨는 다발성 손상으로 숨졌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세 차례에 걸친 충격 중 몇 번째가 A씨의 사망 원인이 됐는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고 감정했다.
처음 사고를 낸 택시와 택시공제계약(사고로 인한 법률상 손해배상책임을 대신하는 계약)을 맺고 있는 택시운송조합은 A씨 유족들과 손해배상액 1억5500만원에 합의하고 지난해 8월 이 중 1억3000여만원을 지급했다.
이후 택시운송조합은 “사고 후 마을버스의 과실 비율이 70%에 달하기 때문에 유족에게 지급한 손해배상금 중 9000여만원은 버스운송조합이 부담해야 한다”며 구상금 청구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마을버스 운전기사가 2차 사고를 낸 사실을 알고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현장에서 벗어났다”며 “마을버스의 과실비율을 30%로 인정된다”고 판시했다.
재판부는 처음 사고를 낸 택시 운전기사에 대해 “A씨를 넘어뜨리고도 적절한 구호조치나 추가적인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아 2·3차 사고가 발생했다” 과실비율을 60%로 봤고, 또다른 택시의 과실비율에 대해선 10%라고 판단했다.
김선미 기자
'알면조코 > 법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편과 바람난 여자 직장 찾아가 "꽃뱀이다" 망신 준 부인 벌금형 (0) | 2017.01.31 |
---|---|
대법 "사실혼도 재산 분할 땐 취득세 특례 적용" (0) | 2016.09.19 |
경매 넘어간 '깡통건물'로 보증금 5억 챙긴 건물주 (0) | 2016.08.09 |
갑자기 택시서 내린 승객이 오토바이에 치이면 누구책임? (0) | 2016.07.14 |
아내와 바람 핀 띠동갑 연하남에 차량 돌진한 30대…법원은 ‘선처’ (0) | 2016.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