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골프레슨/신나는골프-고덕호

⑤ 다운 스윙 때 왼쪽 벽은 어떻게 쌓나

⑤ 다운 스윙 때 왼쪽 벽은 어떻게 쌓나

구부린 셋업 자세 그대로 임팩트 때 왼다리 펴줘야

 

‘다운 스윙을 할 때는 몸의 왼쪽에 벽을 쌓아라’. 골퍼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음 직한 말이다. 그렇지만 왜 그래야 하는지, 어떻게 하는지는 모르는 경우가 적지 않다.

 


다운 스윙 때 벽을 쌓는다는 표현은 정확하게 말하면 체중 이동에 신경을 쓰다가 임팩트 순간에만 벽을 쌓는다는 표현이 맞다. 이것은 모던 스윙에서 강조하는 구심력을 이용한 강한 임팩트 요령이다. 오래전 클래식 스윙의 임팩트 자세는 클럽 헤드의 원심력과 체중 이동만을 이용하여 파워를 냈기 때문에 엉덩이는 돌아가지 않은 상태에서 양 무릎만 목표 쪽으로 휘어져 있는 모습이었다. <사진 1>

그러나 모던 스윙의 임팩트 자세는 다르다. 상·하체의 지렛대 작용을 이용하되 클럽 헤드의 원심력뿐만 아니라 왼쪽 다리로 지탱하며 파워를 내기 때문에 임팩트 순간에는 왼쪽 다리를 펴주는 것이 특징이다. <사진 2>

이렇게 이해하면 쉽다. 버스가 급정거하면 관성의 법칙에 의해 순간적으로 몸이 앞으로 튕겨나간다. 골프 스윙도 마찬가지다. 체중 이동을 하며 회전하고 있는 몸을 순간적으로 왼쪽 다리로 제동을 거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클럽 헤드가 튕겨나가듯이 스피드가 빨라지는데 바로 이 순간이 임팩트인 것이다. 이것을 골프 스윙에서는 ‘벽을 향해 때린다(Hit it to the wall)’고 표현한다. 마치 왼쪽 다리를 벽에 기대고 샷을 하는 느낌으로 임팩트를 하라는 것이 모던 스윙의 이론이다.

그렇지만 이렇게 임팩트를 할 때도 주의할 부분이 있다.

첫째는 임팩트 순간 왼쪽 다리를 곧게 펴는 것을 의식한 나머지 상체 또는 몸 전체가 흔들리면 안 된다는 것이다. 상체가 들리게 되면 샷의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미스 샷이 나오기도 쉽다. 둘째는 무릎이 약한 골퍼라면 연골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임팩트 때 몸을 들지 않고 왼쪽 벽을 쌓기 위해서는 어드레스 때에 꺾어진 골반의 각도를 그대로 유지한 채 왼다리를 펴주는 것에 유의하는 게 좋다. 그렇다고 억지로 무릎을 펴기보다는 약간은 구부러진 자세지만 임팩트 순간에 왼쪽 다리가 강하게 지탱해 준다는 느낌으로만 공을 가격해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빠른 헤드 스피드를 가진 타이거 우즈는 데뷔 초기 왼쪽 무릎을 완전히 펴준 상태에서 임팩트를 하다가 무릎 연골 파열로 고생했다. 자기 신체 조건에 맞도록 적절한 벽을 쌓으며 임팩트의 느낌을 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덕호
사진=안성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