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 여행객의 카드 수수료 절약법…원화 결제 미리 차단하세요
해외서 카드 쓸 때 원화로 결제하면
안 내도 되는 수수료 3~8% 더 붙어
카드사 홈페이지·콜센터서 차단 신청
연간 최대 827억원 수수료 절약 가능
해외 원화결제 차단
해외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할 때 무심코 원화 결제를 선택했다가 수수료 부담을 떠안는 일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카드 고객이 미리 국내에서 전화 한 통으로 원화 결제를 차단해 달라고 요청할 수 있어서다.
금융감독원은 해외원화결제(DCC·Dynamic Conversion Currency) 사전차단 서비스를 다음 달 4일부터 시행한다고 18일 밝혔다.
현재 해외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현지 통화나 달러, 원화 중에서 고객이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해외 가맹점에선 창구 직원이 원화 결제를 유도하기도 한다.
대체로 현지 통화로 결제하는 것이 환율이나 수수료에서 유리하지만, 정보 부족 등으로 원화 결제를 선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해외에서 원화로 결제하면 결제액의 3~8%가 수수료로 붙는다. 예를 들어 100달러짜리 물건을 살 때 환율이 1100원이고 DCC 수수료율이 4%라면 카드사용 명세서에는 수수료를 포함해 11만4000원이 청구된다.
지난해 전체 해외 결제액 15조623억원 중 18.3%인 2조7577억원이 원화로 결제됐다. 2014년(1조2154억원)의 두 배가 넘는 수준이다.
수수료율을 3%로 계산한다면 카드 고객들은 연간 827억원의 수수료를 불필요하게 부담한 셈이다. 금감원은 이 중 40%를 줄이면 연간 331억원을 아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화 결제를 차단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고객이 카드사 홈페이지나 콜센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원화 결제 차단을 신청하면 된다.
이 경우 해외에서 원화로 결제하면 카드 승인이 거절된다. 차단 신청을 했더라도 불가피한 사유 등으로 원화 결제를 원하는 경우엔 언제든 변경할 수 있다.
일부 해외 가맹점이 시스템 등을 이유로 원화 결제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DCC 차단을 해제한 뒤 원화로 결제하거나, 다른 가맹점을 이용해야 한다.
김동궁 금감원 여신금융감독국장은 "DCC 사전차단서비스가 시행되면 해외 카드 이용 소비자의 불필요한 수수료 부담이 크게 줄 것"이라고 말했다.
황의영 기자
현재 해외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현지 통화나 달러, 원화 중에서 고객이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해외 가맹점에선 창구 직원이 원화 결제를 유도하기도 한다.
대체로 현지 통화로 결제하는 것이 환율이나 수수료에서 유리하지만, 정보 부족 등으로 원화 결제를 선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해외에서 원화로 결제하면 결제액의 3~8%가 수수료로 붙는다. 예를 들어 100달러짜리 물건을 살 때 환율이 1100원이고 DCC 수수료율이 4%라면 카드사용 명세서에는 수수료를 포함해 11만4000원이 청구된다.
지난해 전체 해외 결제액 15조623억원 중 18.3%인 2조7577억원이 원화로 결제됐다. 2014년(1조2154억원)의 두 배가 넘는 수준이다.
수수료율을 3%로 계산한다면 카드 고객들은 연간 827억원의 수수료를 불필요하게 부담한 셈이다. 금감원은 이 중 40%를 줄이면 연간 331억원을 아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금감원
원화 결제를 차단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고객이 카드사 홈페이지나 콜센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원화 결제 차단을 신청하면 된다.
이 경우 해외에서 원화로 결제하면 카드 승인이 거절된다. 차단 신청을 했더라도 불가피한 사유 등으로 원화 결제를 원하는 경우엔 언제든 변경할 수 있다.
일부 해외 가맹점이 시스템 등을 이유로 원화 결제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DCC 차단을 해제한 뒤 원화로 결제하거나, 다른 가맹점을 이용해야 한다.
김동궁 금감원 여신금융감독국장은 "DCC 사전차단서비스가 시행되면 해외 카드 이용 소비자의 불필요한 수수료 부담이 크게 줄 것"이라고 말했다.
황의영 기자
'알면조코 > 뭐니 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복 항공권 싸다는 건 옛날 얘기···'이것'을 노려라" (0) | 2019.03.25 |
---|---|
국민연금 과세 1만명 급증···"쥐꼬리 연금에 세금" 반발 (0) | 2018.05.14 |
'독배' 조기연금 수령자 3년새 절반 이하로 (0) | 2017.05.08 |
연금세 덜 내는 3가지…연 1200만원까지, 10년 이상 나눠, 늦게 받아라 (0) | 2017.03.13 |
2배로 뛴 배추·무값…신선식품물가 15% 급등 (0) | 2016.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