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롭게/자유공간

불경기에는 치마 길이가 짧아진다고?

불경기에는 치마 길이가 짧아진다고?

가장 널리 알려진 속설은 우연의 결과
보수화 추세 속에 튀는 패션 강세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경기 침체의 서막을 두려운 마음으로 지켜보고 있는 사람들이 품는 궁금증 중 하나는 이번 불경기로 유행이 어떻게 바뀔 것인가하는 문제다. 대공황 당시의 긴 치마와 석유 파동 당시의 미니스커트가 유행했던 것처럼 불경기는 스타일의 변화를 몰고 온다. 경기 침체의 진원지인 미국에서 지난 1일부터 열리고 있는 뉴욕패션위크 2008 가을컬렉션은 그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지 않을까.

불경기엔 반드시 치마가 길이가 짧아진다고 생각한다면 섣부른 오산이다. 패션과 경기 변동에 대해 가장 널리 알려진 이 속설은 우연이 낳은 오해일 따름이다. 이 이론은 1920년대 컬럼비아 경영대학원의 폴 니스트롬 교수가 쓴 『패션 경제학』이라는 책에서 유래됐다. 이 책은 치마 길이와 주가의 상관관계를 다뤘다. 그의 이 가설은 주식시장이 엄청난 활황을 보였던 1860년대초 영국에서 여성들의 머리 장식 높이가 무려 2m까지 극적으로 높아진 데 착안한 것이었다. 당시 ‘스펙테이터’지의 발행인이었던 아일랜드계 정치가 리처드 스틸 경은 “주가는 여성들의 머리 장식 높이에 따라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한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치마 길이와 경기 변동의 상관관계에 관한 최초의 저작엔 놀랍게도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속설과는 정반대 주장을 늘어놓았다. 불경기에 오히려 치마 길이가 길어진다는 게 니스트롬의 주장이다. 실증적 자료를 덧붙인 그의 설명에 따르면, 미국 여성의 치마 길이는 한창 호황이던 1920년대 무릎까지 올라갔다가, 대공황이 발생한 후 다시 바닥을 쓸다시피 하는 수준까지 내려왔다(에드워드 챈슬러 『금융 투기의 역사』).

이 가설이 ‘불경기에 치마 길이가 짧아진다’는 속설로 뒤집힌 데는 사정이 있다. 경제학자들에 따르면 1970년대 석유파동으로 인한 불황이 결정적인 이유라고 한다. 30년대 이후 최고의 불경기였던 당시 패션업계에서는 전례를 찾을 수 없을 만큼 파격적인 미니스커트가 크게 유행했다.

그렇다면 전체적인 패션과 불경기의 상관관계는 어떨까? 경제학계는 이 주제에 대해 흥미를 잃은 지 오래지만, 패션업계는 아직도 초미의 관심사다. 불경기로 매출이 줄어들게 되면 자구책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뉴욕패션위크를 보도하는 많은 미국 언론들은, 불경기로 패션이 전반적으로 보수화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튀는 디자인도 늘어난다고 한다. 많은 디자이너들이 불경기를 과장된 패션에 대한 핑계거리로 삼는다는 것이다. 로이터 통신은 4일“(불경기에) 디자이너들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더욱 필사적이 된다”는 뉴욕의 트렌드 예측 회사인 도네거그룹의 데이비드 울프 이사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여기에다 소비자들의 참신하고 혁신적인 디자인 수요도 늘어나, 밝은 색상과 과감한 프린트가 각광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부 패션 전문가들은 색의 제왕인 검정색이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점치기도 한다. 미국 패션업계에서 영향력이 큰 일간지 ‘워먼스웨어 데일리’(Women’s Wear Daily)의 편집부국장인 아더 재키위츠는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불경기 패션 소비자들의 심리 상태를 이렇게 묘사한다. “불경기라고 사람들이 모두 쇼핑을 중단하는 것은 아니다. 쇼핑을 통해 우울한 마음을 달래려는‘쇼핑 요법’(retail therapy) 신봉자들은 오히려 늘어난다.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음울해지는 가운데서도 튀는 디자인이 느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여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