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장 그린피 `살기 위해` 올리고 내린다
국내 골프장 그린피가 극단적인 양극화로 치닫고 있다. 치열한 경쟁에 내몰린 지방 골프장은 그린피 인하를 생존 전략으로 선택한 반면세금폭탄에 직면한 수도권은 살아남기 위해 인상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골프장 가운데 종합토지세를 가장 많이 내는 경기도 성남시 N골프장은 최근 주말 비회원 그린피를 다음 달부터 24만원으로 올리기로 결정했으며 인근 용인의L골프장도 주말 비회원 1인당 22만5천원을 받는다.
서울 도심에서 약 1시간 거리로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이점을 누리고 있는 대부분의 골프장 주말 비회원 그린피는 20만원이 넘는다. 반면 충청권 이남 지역에서는 주말 비회원 그린피가 15만원, 제주지역은 12만원 안팎이다. 제주 골프장은 단체 손님에게는 10만원에도 못 미치는 주말 비회원 그린피를 받는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린피가 가장 비싼 수도권 골프장과 가장 낮게 책정한 제주지역 골프장의 주말비회원 그린피 차이는 두 배가 넘는다.
양극화 양상이 심화되고 있는 원인은 공교롭게도 골프장이 처한 경영환경 변화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선택한 '생존 전략'이라는 게 공통점이다.
수도권 골프장은 경영에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등장한 부동산 관련 세금 부담을 이겨내기 위해 그린피 인상이라는 방법을 택했다.
국내 최고가 그린피 인상을 단행한 N골프장은 지난해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각종 세금 80억원을 냈다. 내년에는 과표 적용률이 올라가면서 세금 부담이 100억원을 넘길 수도 있는 이 골프장이 연간 150억원 남짓한 매출액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은그린피 인상 밖에 없다.
N골프장 뿐 아니라 수도권 골프장은 치솟는 땅값 탓에 부과되는 세금이 연간 50억원이 넘는 곳이 대부분이고 이는 해마다 늘어날 것으로 보여 세금 부담은 경영에 가장 큰 부담을 주는 요소로 등장했다.
그린피를 올려받아도 찾는 손님은 줄어들지 않는 지리적 이점 때문에 수도권 골프장으로서는 가장 손쉬운 선택이 그린피 인상인 셈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지방 골프장은 내장객 감소라는 악재에 신음하고 있다. 골프 인구는 꾸준히 늘어나지 있지만 새로 문을 여는 골프장이 많아지면서 골프 인구가 수도권에 비해 적은 지방은 매출 감소가 골칫거리가 됐다.
골프장 신설이 두드러지는 제주 지역은 지난해 18홀 기준 매출액이 100억원을 넘긴 곳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부동산 가격이 싸게 매겨져 세금 부담은 수도권 골프장의 20% 수준인 연간 10억원 안팎에 불과하지만 매출은 수도권 골프장의 60%에도 미치지 못하는 곳이 수두룩하다.
그린피를 내려서라도 손님을 끌어들이지 않으면 살아 남을 수 없기에 줄줄이 그린피 인하 대열에 동참하고 있는 것이다.
세금 부담은 적지만 손님이 없는 제주 지역을 비롯한 지방 골프장은 살아 남기 위해 그린피를 내리고 손님은 많아도 세금 부담이 큰 수도권 골프장은 생존을 위해 그린피를 올리는 현상은 당분간 지속되면서 골프장 그린피 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골프장경영협회 관계자는 "이런 양극화 현상은 정부의 과도한 세금정책에 기인한 부분이 많다. 위헌 소지까지 있는 일부 조세항목을 골프장 경영자들이 그린피에 의존하지 않고 투자 의욕을 살릴 수 있는 정책이 아쉽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골프 > 골프장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서 싸게 라운딩 하는 ‘틈새 요령’ (0) | 2007.05.10 |
---|---|
<골프소식> 방콕로얄골프장, 두 달 특별 할인 (0) | 2007.05.03 |
<골프소식> 국내 골프장 영업이익률 10%대로 하락 (0) | 2007.04.13 |
3000만원만 있으면 골프장 정회원 가능해 (0) | 2007.04.12 |
`비싼 제주` 악순환 벙커에 빠졌다 (0) | 2007.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