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터미널 여자 화장실 좌변기 찜찜하더니…`역시 세균이 우글우글`
서울대 천종식 교수가 이끄는 이 대학 생명과학부 원핵미생물학 및 생명정보학 연구실은 4일 '공중화장실 좌대에 상존하는 병원균에 대한 연구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시내 공중 화장실 다섯 곳의 서양식 변기에서 평균 71만 마리(10㎠당 3800마리)의 세균이 검출됐다. 연구팀은 지난해 10월 30일 호남.경부선 강남고속버스터미널, 동서울 고속버스터미널, 열차 용산역.서울역의 여자화장실에서 서양식 변기 1개씩 골랐다. 이어 좌대와 덮개에서 시료를 채취한 뒤 유전자 분석을 했다. 연구 의뢰는 사단법인 한국화장실협회가 했다. 조사 대상 화장실 중 세균이 가장 많았던 곳은 강남고속버스터미널 경부선으로 200만 마리(10㎠당 1만 마리)였고, 가장 적었던 강남고속버스터미널 호남선도 13만 마리(10㎠당 670마리)로 나타났다. 검출된 세균은 총 31종이었다. 이 중 8종류는 면역력이 떨어지는 환자나 노약자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기회감염균'이었다. 기회감염균 가운데 패혈증을 유발하는 아시네토박터와 포도상구균은 각각 세 곳과 다섯 곳에서 검출됐다. 오염된 대변에서 발견되는 대장균이 나온 곳도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해 2월 한국소비자보호원의 세균 오염도 조사 당시 검출됐던 쇼핑카트 손잡이(10㎠당 1100마리)의 3.5배, 화장실 손잡이(340마리)의 11배, 지하철 손잡이(86마리)의 44배에 달하는 수치다. 천 교수는 "편의상 여자화장실만 조사했지만 남자화장실도 몸이 닿는 서양식 변기라면 결과는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공중화장실의 변기 좌대에 비닐.종이 커버 등을 사용하면 더 위생적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애란 기자 ◆세균 수=먹는 물(1㎖당 100마리)이나 물티슈(1g당 2500마리). 물수건(장당 10만 마리) 등에는 일반세균 허용 기준치가 나와 있다. 하지만 화장실 변기에 대한 세균 기준치는 정해져 있지 않다. |
'알면조코 > 건강하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통제, 잘못 먹으면 ‘독’ (0) | 2007.02.15 |
---|---|
`제모, 점제거용 마취제` 2명 사망 (0) | 2007.02.07 |
`단골 술집` 없애고 `단골 의사` 만들자 (0) | 2007.02.02 |
알코올성 간 질환 치료 (0) | 2007.01.31 |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약이 비염 일으킨다? (0) | 2007.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