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싱(Phishing)이란?
피싱(Phishing)이란, 금융기관 등의 웹사이트나 거기서 보내온 메일로 위장하여 개인의 인증번호나 신용카드번호, 계좌정보 등을 빼내 이를 불법적으로 이용하는 사기수법입니다.
수상한 e-메일을 받으신 분들께서는 아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지 꼭 확인하셔서 금융피해를 철저히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 유형별 피싱메일 대처법
◎ 유형 1
- 유명 은행, 카드사 등을 사칭하는 e-메일
※ 업체 마크, 로고 등이 메일에 포함돼 있어도 위장 사이트일 수 있음
- 계좌번호, 카드번호, 비밀번호 등의 확인 또는 갱신을 유도
- 확인 또는 갱신을 하지 않을 경우 거래가 중지된다는 식의 위협이나 자극적인 문구 사용
◎ 유형 2
- 포털사이트, 쇼핑몰 등을 사칭하는 e-메일
- 경품당첨안내 또는 이벤트 참가 등을 유도하며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
피싱(Phishing)이란, 금융기관 등의 웹사이트나 거기서 보내온 메일로 위장하여 개인의 인증번호나 신용카드번호, 계좌정보 등을 빼내 이를 불법적으로 이용하는 사기수법입니다.
수상한 e-메일을 받으신 분들께서는 아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지 꼭 확인하셔서 금융피해를 철저히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 유형별 피싱메일 대처법
◎ 유형 1
- 유명 은행, 카드사 등을 사칭하는 e-메일
※ 업체 마크, 로고 등이 메일에 포함돼 있어도 위장 사이트일 수 있음
- 계좌번호, 카드번호, 비밀번호 등의 확인 또는 갱신을 유도
- 확인 또는 갱신을 하지 않을 경우 거래가 중지된다는 식의 위협이나 자극적인 문구 사용
◎ 유형 2
- 포털사이트, 쇼핑몰 등을 사칭하는 e-메일
- 경품당첨안내 또는 이벤트 참가 등을 유도하며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
■ 피싱
메일, 이렇게 대응하세요.
① 은행, 카드사 등에 직접 전화를 걸어 e-메일이 안내하는 사항이 사실인지를
확인합니다.
② e-메일에 링크된 주소를 바로 클릭하지 마세요. 해당 은행, 카드사 등의 홈페이지
주소를 인터넷 주소창에 직접
입력하여 접속하십시오.
③ 출처가 의심스러운 사이트에서 경품에 당첨됐음을 알려오는 경우, 직접 전화를 걸어 사실인지를
확인하십시오. 사실인 경우에도 가급적이면 중요한 개인정보는 제공하지 않아야합니다.
④ 피싱이라고 의심되는 메일을 받았을 경우 해당
은행, 카드사, 쇼핑몰 및
한국정보호호진흥원 ☎(02)-1336 또는 (02)-118에 신고해 주세요.
⑤ 은행, 신용카드,
현금카드 등의 사용내역이 정확한지 정기적으로 확인합니다.
⑥ 피싱 사이트 접속 후 PC 감염이 의심된다면, 백신프로그램으로 진단하고
치료하시기 바랍니다.
'알면조코 >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척간의 호칭 (0) | 2005.09.09 |
---|---|
[스크랩] 장마철 생활상식 (0) | 2005.07.14 |
인터넷 실명제 5가지 오해와 진실 (0) | 2005.07.06 |
■ [쪽지시험] 내 PC 보안지식은 몇 점? (0) | 2005.07.01 |
[스크랩] 각종 계약서 서식 (0) | 200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