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미리= 까나리’ 아시나요
동해안 까나리
| |
까나리는 연안에서 많이 잡히지만 양미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다. 동해안에서 까나리가 양미리로 불린 지는 오래됐다. 까나리는 서해와 남해안에서, 양미리는 동해안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어민이 대부분이다.
동해안 까나리는 20㎝ 이상으로 10~15㎝의 서·남해안 까나리보다 크다. 일부 학자는 동해안 까나리가 서·남해안 것과 다른 어종일 가능성도 제기한다. 부경대 김진구(자원생물학과) 교수는 “유전자(DNA) 분석 결과 동해안산은 서·남해안산과 다른 유전적 구조를 보인다”며 “분류학적 관점에서 동해산에서 다른 의미 있는 형질이 확인된다면 신종으로 보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동해안 대표 어종 중 하나인 까나리는 기름이 많지 않아 담백하다. 정소(精巢)에는 세포 재생효과가 좋은 핵산이 많이 들어있다. 강릉원주대 수산화학실험실이 까나리 정소에 대해 세포 재생효과를 실험한 결과 참치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대학 정인학(해양생명공학부) 교수는 “값이 비싸지 않은 건강식품으로 통조림으로 가공하면 훌륭한 지역특산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요즘 산지에서 생물 20마리에 5000원 안팎에 팔고 있다. 크리스마스를 기해 어획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까나리는 그물에서 떼어낸 후 곧바로 굵은 소금을 뿌려 구워먹는 맛이 일품이다. 김치나 감자 등을 깔고 조릴 경우 생물로도 가능하지만 약간 말린 까나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강릉에선 간장·청주·마늘·생강 등으로 양념한 조림을 별미로 친다.
이찬호 기자
'알면조코 >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또 폭설 예고…빙판길 안전운전 10계명 (0) | 2009.12.29 |
---|---|
탈모 고민이라면 튀김·삼겹살 안먹는게 좋아 (0) | 2009.12.21 |
캠리와 아이폰 (0) | 2009.12.16 |
[연말정산] 올해 달라진 내용은 (0) | 2009.12.01 |
인사고과시 가장 꼴불견 상사는? (0) | 2009.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