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관계 파탄` 이유만으로 이혼 가능할까
`유책주의` 채택 속 `파탄주의`도 논의 시동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부부관계가 파탄에 이르렀을 때 어느 한 쪽의 책임을 분명히 따지기 어렵더라도 이혼이 가능할까?
9일 서울가정법원에 따르면 지금까지는 재판상 이혼에서 부부 중 한쪽의 책임으로 이혼이 성립하는 '유책주의'가 채택돼 왔지만 혼인 관계가 파탄에 이른 상태를 주된 이혼 사유로 삼는 '파탄주의'에 대한 논의도 속속 이뤄지고 있다.
민법 840조는 재판상 이혼을 청구할 수 있는 사유로 ▲배우자에게 부정행위가 있었을 때 ▲배우자가 악의로 다른 한쪽을 유기할 때 ▲배우자나 그 직계존속에게 심히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기타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 사유가 있을 때 등을 정하고 있다.
이를 기초로 현재까지는 유책주의에 따라 불륜을 저지르거나 폭력을 쓰는 등 혼인 관계의 파탄 과정에 책임이 있는 배우자를 가려내고 그에 따라 반대쪽 배우자의 이혼 청구가 받아들여지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유책주의를 택할 경우 재판 과정에서 상대방의 책임을 내세우느라 적대감이 생기고 이혼 판결이 내려져도 악화된 관계가 유지돼 자녀들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혼인 관계가 이미 파탄에 이르렀다면 한쪽의 책임이 분명하지 않아 이혼 청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해도 관계가 회복되는 것도 아니어서 법률상으로만 부부를 묶어놓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느냐는 비판도 제기돼 왔다.
파탄주의를 택하면 책임이 있는 배우자가 이혼을 청구하더라도 현재 파탄이 난 혼인 관계를 기초로 이혼 판결이 가능하며 이때도 유책주의를 택할 때와 마찬가지로 자녀의 양육과 복리가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된다.
이런 논의는 서울가정법원의 내부통신망 토론 게시판에 한 판사가 유책주의 폐해를 짚고 파탄주의를 검토해야 한다는 글을 잇따라 올려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아울러 최근 서울가정법원에서는 혼인 관계가 이미 파탄 난 점을 주요하게 고려해 이혼 청구를 받아들이는 판결도 나왔다.
"아내가 나의 교회를 사이비 종교집단으로 매도하고 가출했다"며 남편이 낸 이혼 청구에서 재판부는 "남편과 아내 어느 한 쪽의 책임 있는 사유로 혼인 관계가 파탄이 났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남편과 아내의 혼인 관계가 이미 파탄이 났고 회복을 기대하기도 어려운 데다 남편과 아내가 모두 이혼을 원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민법상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다며 이혼 청구를 받아들였다. (연합뉴스)
'알면조코 > 법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시 숨겨진 안전띠 미착용, 승객 책임없다` (0) | 2009.05.25 |
---|---|
`10년 `섹스리스`…의지있으면 이혼불가` (0) | 2009.05.11 |
부산지법 `임신했다` 속여 결혼했다면 혼인취소 사유 (0) | 2008.10.16 |
부산지법 `용의자 1명과 목격자 대면, 신뢰성 없다` (0) | 2008.10.10 |
월급에 포함된 퇴직금 반환해야 하나 (0) | 2008.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