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조코/뭐니 머니

`아파트 24→32평형 갈아타는 비용은 평균 2억원`

`아파트 24→32평형 갈아타는 비용은 평균 2억원`

서울 기준, 1년 전보다 3천668만원 더 들어
서초구가 4억5천757만원으로 1위

 
 

일반 서민들이 서울지역에서 아파트 평수를 늘려가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는 현재 서울지역 24평형 아파트에서 32평형으로 갈아타는데 필요한 추가 자금은 평균 2억450만원으로 1년 전의 1억6천782만원에 비해 3천668만원 늘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지난 1년간 24평형 아파트 평균가가 평당 214만원 오른데 비해 32평형은 중형 선호 현상과 보유세, 담보대출 이자 등의 비용 전가로 이보다 61만원 높은 평당 275만원이 올랐기 때문이다.

24평형에서 32평형으로 옮기는데 추가 자금이 가장 많이 필요한 곳은 서초구로 4억5천757만원이었다. 이는 1년 전 4억3천913만원에 비해 1천844만원이 더 늘어난 것이다.

그 다음은 강남구로 24평형에서 32평형 입성을 위해 1년 전의 3억4천979만원보다 4천161만원 불어난 3억9천140만원이 필요했다.

이들 지역은 판교신도시 분양과 재건축, 서초동 삼성타운 조성, 지하철 9호선 건설 등 각종 개발 재료로 집값 상승폭이 컸고, 그 가운데서도 30평형대가 20평형대에 비해 더 많이 올랐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3위는 용산민족공원 개발, 뉴타운 등 호재가 집중된 용산구로 총 3억2천655만원의 추가 자금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년 전에 필요했던 2억5천993만원에 비해 무려 6천662만원이나 증가한 수치다.

광진구는 올해 추가자금이 2억9천369만원이 필요해 1년새 7천960만원이 늘었다. 광진구도 역시 U턴 프로젝트 수혜지역으로 부상되면서 지난해부터 30평형대의 상승폭이 컸다.

닥터아파트 김경미 리서치센터장은 "20평형대는 4인 가족이 거주하기에는 작은 편이고, 종부세 부담 때문에 큰 평수 인기도 예전만 못해 상대적으로 30평형대의 몸값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며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까다로워져 앞으로 서민들이 평수를 늘려가기가 점점 더 힘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