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골프레슨/골프레슨모음

다운스윙의 시동과 하프웨이 다운

다운스윙의 시동과 하프웨이 다운
오른쪽 상체 잡아두고 히프의 측면 이동으로 리드
팔과 몸통은 분리하되 클럽과 손은 몸앞에 유지해야
오른발 안쪽 체중은 왼발가락 쪽으로 옮겨져야 이상적
 
스윙의 최정점에서 다운스윙으로 이어지는 열쇠는 팔과 몸통을 분리하는 일이다.
 
머리로는 이해하는데 몸의 작동은 전혀 그렇지 않는데서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아마추어 골퍼들은 다운스윙 때 몸의 왼쪽보다는 오른쪽 상체 부위를 너무 빨리 움직이는 경향이 짙다.
 
볼을 치겠다는 의식이 앞서기 때문이다. 백스윙의 정점을 통해 몸의 감김이 제대로된 상체는 있는 그대로 머물게 하고, 히프의 측면 이동으로 다운스윙을 리드해야 하지만 오른쪽 상체 부위가 먼저 치고 나가고 만다. '하지 말아야지…'를 수차례 되새겨도 스윙할 때는 금새 잊어버린다.

이 과정은 정말 쉬운 동작이 아니다. 그러나 그 요령을 알고 집중해서 반복하면 할 수 있다. 의식이 몸을 지배한다는 말은 결코 틀린 말이 아니기 때문이다.
 
골프레슨 서적이나 선수들의 얘기를 통해 이미 알고 있겠지만 신축성이 좋은 긴 튜브 등을 자신의 키보다 높이 매달아 놓고 이를 잡아당기는 훈련하는 선수들의 하나같은 공통점은 '히프의 측면 회전력'을 키우기 위함이다.
 
이는 스윙 톱에서 볼을 치겠다는 의식보다는 빠른 허리 회전을 통해 클럽을 임팩트 존으로 끌어내리겠다는 의지가 더 강력하게 스며 있는 훈련법이라고 할 수 있다. 아마추어 골퍼들도 바로 이점에 유의해 연습을 해야 한다.
 
스윙 톱의 위치에너지를 강력한 운동에너지로 전화시켜주는 것은 그립한 양손 등 몸의 오른쪽 부위의 빠른 회전이 아니라 왼쪽 히프의 회전에 있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왜 몸의 오른쪽 부위가 먼저 움직이면 문제가 되는 것일까. 지금부터는 여러분의 상상력이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 일단 <사진1>의 상황을 눈여겨보자.


그립한 양손이 제자리를 잡은 아주 이상적인 백스윙의 정점인데 여기에서 오른 어깨의 상체가 먼저 회전된다고 가정해보면 클럽 헤드의 궤도가 아웃사이드 인으로 진입할 확률이 90% 이상이다. 또 그립한 양손이 몸 밖으로 떨어지면서 클럽 페이스면이 확 닫히고 만다.

 
하지만 <사진2>처럼 어드레스 때의 척추 각도를 유지한 채 상체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시키고 히프의 측면 이동을 살짝 해주면 <사진3>과 같이 클럽가과 손, 팔은 자연스럽게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손과 클럽을 가슴 앞에서 멀리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윙의 정점에서 형성된 클럽 페이스면도 열리거나 닫히지 않는다.

 
그러나 다운스윙에서 히프를 너무 많이 움직이게 되면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첫째, 히프가 타깃을 향해 너무 많이 밀려나게 되면 클럽은 필요 이상으로 몸 뒤에 처지게 되면서 스윙 아크는 거의 수평에 가깝게 볼에 진입함으로써 페이스가 닫히게 돼 훅성 타구로 이어진다.
 
둘째, 히프를 과도하게 왼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클럽은 너무 가파르게 왼쪽 몸을 향해 대각선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클럽 페이스가 열린 상태로 볼을 히팅함으로써 슬라이스가 될 개연성이 높다.
 
때문에 스윙 톱에서 다운스윙으로의 전환은 손과 팔, 그리고 몸이 조화를 이루면서 몸앞에서 멀리 분리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다운스윙의 최초 동작은 '오른쪽 어깨'를 있는 그대로 뒤에 머물게 하고, '히프의 측면 이동'과 더불어 '오른 손바닥이 몸앞 정면을 바라 본다는 느낌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와 함께 다운스윙 때 중요한 것이 클럽을 몸 앞에 유지하는 동작이다. 이를 '하프웨이 다운'이라고 하는데 스윙 폭이 넓어지고 올바른 회전의 열쇠가 된다. 다시 말해 셋업 때는 그립한 손과 팔이 모두 몸 앞에 유지된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런데 스윙이 시작되면 그 위치가 모두 바뀌고 만다. 손과 팔, 몸이 모두 '따로 국밥'처럼 따로 논다. 이렇게 해서는 온 플레인의 좋은 스윙을 구축할 수 없다.

 
다운스윙에서의 팔은 <사진4>처럼 몸 앞으로 낮게 회전되면서 내려와야 한다. 백스윙 때 왼팔이 회전되면서 올라갔기 때문에 그 역으로 풀어내면 쉽다. 더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앞서 얘기했던 다운스윙의 최초 동작인 히프를 목표 방향으로 살짝 밀어주는 '측면 이동'이 이뤄져야 한다.

 
더블어 체중은 오른발 뒷꿈치 안쪽에서 왼발가락 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특히 '측면 이동' 방향 동작은 체중 이동을 확실하게 보장해 줄 뿐만 아니라 <사진5>와 같이 다운스윙 때 클럽이 좀더 몸 안쪽으로부터 스윙되어 내려올 수 있도록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동작은 하체의 '리버스 그라운드 업(Riverse Ground Up)'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즉 히프를 그 자리에서 곧 바로 왼쪽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 방향으로 살짝 밀어주면서 손과 팔이 가슴 앞에서 충분히 멀리 분리되도록해 그립한 양손목의 깊은 코킹 각을 형성한 다음, 빠르게 회전하는 것이다. 타이거 우즈는 이 두 가지 핵심 요소를 아주 정확히 잘 배합하고 있는 선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