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트럴 왜글과 테이크 백의 4가지 요소
왼어깨 회전은 스윙 4분의 1 지점
왜글은 손과 손목으로 부드럽게 쳐 테이크백 시동역할
백스윙 최초 동작인 손목 코킹 업은 '원각'으로 '왜글'
왜글은 손과 손목으로 부드럽게 쳐 테이크백 시동역할
백스윙 최초 동작인 손목 코킹 업은 '원각'으로 '왜글'
지난주까지 설명을 통해 스윙의 기본 셋업이 완성됐다고 할 수 있다.
클럽을 제대로 잡을 수도 있고, 7스퀘어 정렬 방식과 더불어 올바른 셋업으로 조준도 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제 손과 팔이 어떻게 스윙 플레인에 연관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한 가지 더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뉴트럴 왜글(Neutral Waggle)'이다.
이것은 하나의 '미니 연습스윙'으로 셋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클럽의 '원각'을 따라 온 플레인 선상으로 '테이크 백(어웨이)'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스윙의 중요한 부분 가운데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셋업의 요소들을 제대로 배웠다면 왜글은 신체의 경직을 풀어주어 좋은 스윙을 조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스윙의 리듬에도 큰 도움이 된다.
이 때 중요한 것은 보기 흉하게 건성으로 마구 흔들어대는 것이 아니라 원각을 따라 클럽 페이스가 살짝 열리도록 손과 손목으로 부드럽게 해야 한다. 팔과 어깨로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왼팔뚝과 왼손이 미세하게 회전되면서 손목이 약간 위로 '코킹 업'되는 느낌이 들어야 한다.
이것은 대단히 중요한 문제다. 왜냐하면 가장 빠르게 스윙되면서 예리한 '파워샷'을 만들어내는 '온 플레인 골프 스윙'은 백스윙의 최초 동작인 테이크 백 때 손목의 '코킹 업 각도'를 어떻게 어디로 만들어내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즉 왜글은 바로 테이크 백의 시동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쉽게 간과할 수 없는 요소이다.

따라서 클럽과 손목으로 만들어지는 백스윙의 최초 동작인 손목의 코킹 업은 반드시 '원각'으로 '왜글' 되어야 한다. <사진1>은 드라이버로 샤프트 각도인 원각을 따라 왜글하는 동작이고, <사진2>는 5번 아이언으로 클럽 페이스가 살짝 열리는듯이 부드럽게 손과 손목으로 이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가장 무거운 샌드웨지 또한 클럽헤드가 <사진3>처럼 위로, 동시에 안으로 원각을 따라 움직여야 한다.
어떤 클럽이든 오른 팔꿈치가 오른 히프 쪽으로 약간 접혀지면서 손목의 코킹과 함께 팔의 회전이 느껴져야 한다. 동시에 왼손목의 컵(Cup)을 유지하게 되면 샤프트가 플랫해지거나 혹은 클럽이 안쪽으로 빠지게 되는 문제점들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클럽 헤드를 손 앞에 유지할 수 있는 하이 테크닉인 것이다. 이를 전문 용어로는 '업 앤 인사이드 테크닉'이라고 한다.
이후 다운스윙에서는 손목 코킹을 어떻게 어디로 더 오래 유지하고, 임팩트 때는 그것을 또 어떻게 어디로 릴리스하느냐를 배우면 된다. 이는 빠른 손과 빠른 히프의 배합인 '타이밍'과도 아주 밀접하게 연관돼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배워야 한다.
이와 함께 '테이크 백의 4가지 요소'를 숙지해 클럽 페이스가 '스윙 플레인'과 '호'에 점차적으로 오픈되면서 스퀘어 상태가 되도록 해야 한다. 먼저 그 동안 여러분이 알고 있는 일반적인 테이크 백 요령을 살펴보자. 그 내용은 이렇다.
클럽이 볼로부터 멀어지는 테이크 백은 먼저 어깨와 히프, 그리고 다리가 함께 공동의 역할을 맡게 되는 '피벗(Pivot·회전축)'을 시작으로 몸의 중심선이 오른발 골진(corrugated·발다닥의 정 가운데보다 약간 앞쪽) 위에 위치케 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그립 끝이 오른발 골진 옆에 이르게 해 샤프트가 목표선과 평행이 되고, 지면과 수평이 되게 하는 것이었다.
문제는 이렇게 하면 클럽 헤드를 손 앞에 유지하기가 힘들고 왼팔뚝의 회전에 제한을 받게 되면서 플레인을 벗어나게 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온 플레인 이론'에 맞질 않는다. 이제 우리가 배우고자 하는 것은 바로 '온 플레인 골프스윙' 에서 가장 어렵다는 '뉴트럴 테이크 백'이다.

즉 <사진4>의 테이크 백 상황을 눈여겨보자. 일단 클럽 페이스가 좀더 오래 볼을 향해 있도록 스윙아크를 볼에 대해 스퀘어 상태로 8시 방향까지 왜글을 시도한다. 이어 <사진5>처럼 클럽이 플레인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업 앤 인사이드 테크닉'으로 클럽 헤드가 손 앞에 위치하도록 손목의 코킹을 부드럽게 가져간다.

이 과정을 밟게 되면 왼손목의 컵이 유지되면서 <사진6>과 같이 클럽 헤드는 손보다 약간 위에 위치하게 되면서 원각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 같은 테이크 백은 클럽 헤드가 몸 뒤쪽으로 처지는 고질적인 '레이드 오프' 현상과 몸 앞에서 너무 가파르게 스윙 톱으로 이르는 '어크로스 더 라인'의 문제들은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보면 백스윙과 스윙톱은 바로 스윙의 시작 단계인 테이크 백에서 이미 결정되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만큼 백스윙의 4분의 1 지점이 대단히 중요하는 뜻이다. 다시 말해 손목의 코킹과 왼팔뚝의 회전, 그리고 팔과 왼어깨의 회전은 스윙의 4분의 1 지점에서 이루어져 한다는 사실이다.
클럽을 제대로 잡을 수도 있고, 7스퀘어 정렬 방식과 더불어 올바른 셋업으로 조준도 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제 손과 팔이 어떻게 스윙 플레인에 연관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한 가지 더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뉴트럴 왜글(Neutral Waggle)'이다.
이것은 하나의 '미니 연습스윙'으로 셋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클럽의 '원각'을 따라 온 플레인 선상으로 '테이크 백(어웨이)'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스윙의 중요한 부분 가운데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셋업의 요소들을 제대로 배웠다면 왜글은 신체의 경직을 풀어주어 좋은 스윙을 조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스윙의 리듬에도 큰 도움이 된다.
이 때 중요한 것은 보기 흉하게 건성으로 마구 흔들어대는 것이 아니라 원각을 따라 클럽 페이스가 살짝 열리도록 손과 손목으로 부드럽게 해야 한다. 팔과 어깨로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왼팔뚝과 왼손이 미세하게 회전되면서 손목이 약간 위로 '코킹 업'되는 느낌이 들어야 한다.
이것은 대단히 중요한 문제다. 왜냐하면 가장 빠르게 스윙되면서 예리한 '파워샷'을 만들어내는 '온 플레인 골프 스윙'은 백스윙의 최초 동작인 테이크 백 때 손목의 '코킹 업 각도'를 어떻게 어디로 만들어내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즉 왜글은 바로 테이크 백의 시동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쉽게 간과할 수 없는 요소이다.

따라서 클럽과 손목으로 만들어지는 백스윙의 최초 동작인 손목의 코킹 업은 반드시 '원각'으로 '왜글' 되어야 한다. <사진1>은 드라이버로 샤프트 각도인 원각을 따라 왜글하는 동작이고, <사진2>는 5번 아이언으로 클럽 페이스가 살짝 열리는듯이 부드럽게 손과 손목으로 이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가장 무거운 샌드웨지 또한 클럽헤드가 <사진3>처럼 위로, 동시에 안으로 원각을 따라 움직여야 한다.
어떤 클럽이든 오른 팔꿈치가 오른 히프 쪽으로 약간 접혀지면서 손목의 코킹과 함께 팔의 회전이 느껴져야 한다. 동시에 왼손목의 컵(Cup)을 유지하게 되면 샤프트가 플랫해지거나 혹은 클럽이 안쪽으로 빠지게 되는 문제점들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클럽 헤드를 손 앞에 유지할 수 있는 하이 테크닉인 것이다. 이를 전문 용어로는 '업 앤 인사이드 테크닉'이라고 한다.
이후 다운스윙에서는 손목 코킹을 어떻게 어디로 더 오래 유지하고, 임팩트 때는 그것을 또 어떻게 어디로 릴리스하느냐를 배우면 된다. 이는 빠른 손과 빠른 히프의 배합인 '타이밍'과도 아주 밀접하게 연관돼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배워야 한다.
이와 함께 '테이크 백의 4가지 요소'를 숙지해 클럽 페이스가 '스윙 플레인'과 '호'에 점차적으로 오픈되면서 스퀘어 상태가 되도록 해야 한다. 먼저 그 동안 여러분이 알고 있는 일반적인 테이크 백 요령을 살펴보자. 그 내용은 이렇다.
클럽이 볼로부터 멀어지는 테이크 백은 먼저 어깨와 히프, 그리고 다리가 함께 공동의 역할을 맡게 되는 '피벗(Pivot·회전축)'을 시작으로 몸의 중심선이 오른발 골진(corrugated·발다닥의 정 가운데보다 약간 앞쪽) 위에 위치케 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그립 끝이 오른발 골진 옆에 이르게 해 샤프트가 목표선과 평행이 되고, 지면과 수평이 되게 하는 것이었다.
문제는 이렇게 하면 클럽 헤드를 손 앞에 유지하기가 힘들고 왼팔뚝의 회전에 제한을 받게 되면서 플레인을 벗어나게 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온 플레인 이론'에 맞질 않는다. 이제 우리가 배우고자 하는 것은 바로 '온 플레인 골프스윙' 에서 가장 어렵다는 '뉴트럴 테이크 백'이다.

즉 <사진4>의 테이크 백 상황을 눈여겨보자. 일단 클럽 페이스가 좀더 오래 볼을 향해 있도록 스윙아크를 볼에 대해 스퀘어 상태로 8시 방향까지 왜글을 시도한다. 이어 <사진5>처럼 클럽이 플레인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업 앤 인사이드 테크닉'으로 클럽 헤드가 손 앞에 위치하도록 손목의 코킹을 부드럽게 가져간다.

이 과정을 밟게 되면 왼손목의 컵이 유지되면서 <사진6>과 같이 클럽 헤드는 손보다 약간 위에 위치하게 되면서 원각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 같은 테이크 백은 클럽 헤드가 몸 뒤쪽으로 처지는 고질적인 '레이드 오프' 현상과 몸 앞에서 너무 가파르게 스윙 톱으로 이르는 '어크로스 더 라인'의 문제들은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보면 백스윙과 스윙톱은 바로 스윙의 시작 단계인 테이크 백에서 이미 결정되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만큼 백스윙의 4분의 1 지점이 대단히 중요하는 뜻이다. 다시 말해 손목의 코킹과 왼팔뚝의 회전, 그리고 팔과 왼어깨의 회전은 스윙의 4분의 1 지점에서 이루어져 한다는 사실이다.
'골프레슨 > 골프레슨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이 열쇠다 (0) | 2006.10.30 |
---|---|
[포토레슨<2>]칩샷 때는 'y'를 생각하라 (0) | 2006.10.30 |
뉴트럴 그립과 어드레스. 그리고 정렬 (0) | 2006.10.11 |
온 플레인 스윙의 자세와 7스퀘어 정렬방식 (0) | 2006.10.11 |
다운스윙과 임팩트시 정상궤도 유지방법 (0) | 2006.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