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먹는 하마`는 전기장판 아닌 온풍기
전기장판 하루 8시간, 한달 요금 1만여원..온풍기는 20만원
전기장판을 하루 8시간 사용하면 한달에 전기요금 1만1천원이 나오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식경제부는 겨울철 전력위기 예방을 위한 전기 난방기기 규제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120W 2인용 전기장판으로 실험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3일 밝혔다.
전기장판은 중소업체 200여 곳이 제조, 판매 중이다.
지경부는 전기온풍기, 전기스토브, 시스템에어컨 등 3대 기기가 겨울철 최대전력수요(전력피크)의 16%를 차지한다고 보고 이들에 대해 에너지비용 표시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2.15㎾ 전기온풍기를 각각 하루 8시간, 한달간 틀었을 경우 가정용은 누진제가 적용돼 전기료가 무려 20만1천원이 나왔다. 이에 비해 일반용은 누진제가 적용되지 않아 5만9천원에 그쳤다.
지경부는 앞으로 3㎾ 미만의 소형 전기온풍기에는 가정용과 일반용 전기요금을 모두 표시하도록 했다. 현재 전기온풍기는 120만대가 보급된 것으로 지경부는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전기스토브도 전기료 부담이 온풍기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스토브는 640만대 가량 보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40만대 보급된 것으로 추산되는 시스템에어컨은 내년 4월 최저 소비효율 기준과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1∼5등급) 의무표시제를 적용받는 것으로 돼있는 가운데, 구조와 작동 체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기요금 산출이 어렵다고 지경부는 덧붙였다.
지경부는 전기온풍기, 전기스토브 외에 전기장판, 전기침대, 바닥 난방용 전열보드, 전기라디에이터 등을 에너지비용 표시대상에 추가하기로 했다.
또 에너지비용 표시라벨에 전기요금이 인상되거나 전력피크 요금제가 도입되면 실제 사용요금이 올라갈 수 있다는 점을 명기하도록 했다 (연합뉴스)
'알면조코 > 뭐니 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짜폰? 휴대폰 싸게 사려면 이것 꼭 확인해라 (0) | 2012.02.13 |
---|---|
서울시 버스·지하철 요금 내달 말 150원 인상 (0) | 2012.01.30 |
두바이유 7개월 만에 100달러 아래로 (0) | 2011.09.27 |
금 1돈 소매가 처음으로 25만원 넘어 (0) | 2011.08.19 |
수도권 1주택만 있으면 임대사업자 등록 허용 (0) | 201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