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만원 받고 이름 빌려준 주부 전화료+과태료 3600만원
대포폰 업자에 속아
대출업자는 강씨에게 "비싼 이자를 물고 돈을 빌릴 바에는 차라리 명의를 빌려줘 돈을 받아 가라"고 꾀었다. 강씨 이름으로 개통한 휴대전화를 한 대당 7만원에 사주겠다는 것이다. 이 말에 강씨는 8대의 휴대전화를 만들어 업자에게 60만원에 팔았다. 그는 휴대전화 통화요금은 명의를 빌린 업자가 낼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오산이었다. 대출업자는 강씨 명의의 휴대전화 8대를 스팸업자에게 한 대당 30만원에 팔았다. 스팸업자는 이 휴대전화로 불법대출 광고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수십 만 건을 보냈다. 올해 초 강씨에겐 1800만원어치의 휴대전화 요금 연체 고지서와 1800만원짜리 휴대전화 스팸메시지 행정과태료 통지서가 날아왔다. 강씨는 신용불량자로 등록됐다. #2. 구멍가게를 운영하는 이모(42)씨는 지난해 9월 급전이 필요했다. 거래처에 줄 물품 대금이 조금 모자란 것이었다. 은행에서 빌릴 엄두가 안 난 이씨는 무허가 대출업체를 찾아갔다. 업자는 대포폰(명의 도용 휴대전화) 개설을 권유했고, 이씨는 별 생각 없이 자신의 이름으로 대포폰 두 대를 만들었다. 그 대가는 1050만원 요금 연체 고지서였다. 이씨는 "평생 남에게 피해 안 주고 살았는데 너무 화가 나 앓아 누웠다"고 말했다. 이들은 27일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가 불구속 입건한 하모(32)씨 등 불법 사채업자들의 피해자였다. 이들은 강씨.이씨를 포함 14명 명의의 대포폰을 불법 대출광고 스팸메시지를 보내는 데 사용했다. 이에 따른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이용료 1억2100만원은 고스란히 명의 대여자들이 떠안았다. 대여자들은 50만~100만원의 소액을 빌리러 간 서민들이었다. 대부분 자신도 모르게 최소 300만원의 요금이 연체돼 신용불량자로 등록됐다. 경찰 관계자는 "요즘 서민이 돈 빌릴 곳이 마땅찮을 때 '대포폰을 만들면 돈을 준다'는 말에 쉽게 넘어갈 수 있다"며 "대포폰이 범죄에 악용되면 그 대가는 명의를 빌려준 사람에게 돌아간다"고 경고했다. 경찰에 따르면 하씨 등은 지난해 6월 인터넷 카페에서 70만원을 주고 400만 명분의 개인정보를 입수했다. KT.하나로통신.두루넷 등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들의 정보였다. 하씨 등은 대포폰 전화번호로 문자 발송 사이트에 가입한 뒤 지난해 8~12월 무허가 대부업 광고 900만 건 이상을 전송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초고속 인터넷 업체의 내부 관계자가 가입자 정보를 빼내 시중에 유통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철재 기자 ◆ 대포폰=실제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람 명의로 개설한 휴대전화. 휴대전화 번호로는 실제 사용자를 추적하기 어려워 보통 범죄에 많이 사용된다. |
'알면조코 >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기아가 가격 인상 주도? 차값 최고 23.3% 꾸준히 올라 (0) | 2007.04.13 |
---|---|
`홍콩 갈 땐 담배 3갑만 가져가세요` (0) | 2007.04.05 |
`대형 통유리` 왜 못 보고 부딪치는 걸까 (0) | 2007.03.23 |
서울대 합격자 5명중 1명 특목고 출신 (0) | 2007.03.13 |
공인인증서, 자칫하면 `공용인증서` (0) | 2007.03.12 |